본문 바로가기

경제사회이슈정보

병력동원소집 알람 받으면 어떻게 해야 할까?

 

병력동원소집 알림을 받았다면?

병력동원소집이란?

병력동원소집은 국가 비상사태 또는 전시 상황에 대비해 예비군의 병력을 소집하는 제도로, 전역한 군인들이 일정 기간 동안 군사훈련 및 동원 준비를 위해 소집되는 것을 말합니다. 이는 법적으로 정해진 의무이며, 예비군 편성 후 8년 동안 적용됩니다.

병력동원
예비군

 

 

병력동원소집 알림이 왔을 때 해야 할 일

병력동원소집 알림을 카톡 등으로 받으셨다면, 다음 사항을 확인하세요:

  • 입영부대 확인: 알림 메시지에서 지정된 입영부대와 입영 날짜를 반드시 확인하세요.
  • 소집 대상 여부 점검: 본인이 소집 대상인지, 군부대에 직접 문의하거나 예비군 홈페이지에서 추가 확인이 필요합니다.
  • 별도 준비 사항 확인: 소집 시 필요한 준비물(예비군복, 신분증 등)을 미리 챙기세요.

병력동원소집 참여 관련 주의사항

병력동원소집은 법적인 의무입니다. 아래의 사항을 유념해 주세요:

  • 소집 통보를 받았다면, 반드시 정해진 날짜와 장소에 참석해야 합니다.
  • 개인 사정으로 참여가 어려운 경우, 관할 군부대 또는 예비군 동대에 연락하여 연기 신청을 진행해야 합니다.
  • 정당한 사유 없이 불참할 경우, 과태료 또는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

 

 

동원훈련 입영 - 병력동원훈련소집 - 예비군편성 / 병력동원 - 병역이행안내 - 병무청

 

동원훈련 입영 - 병력동원훈련소집 - 예비군편성 / 병력동원 - 병역이행안내 - 병무청

병역이행안내INFORMATION --> --> 동원훈련 입영 동원훈련 입영 병력동원훈련소집 대상(간부/병) 병력동원소집 대상자로 지정된 사람 중 장교, 준사관, 부사관 : 전역 1~6년차 / 병(兵) : 전역 1~4년차 ※

mma.go.kr

 

동원소집 불참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

병력동원소집 불참 시 다음과 같은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:

  • 1차적으로 관할 군부대에서 연락을 받고 소명 요청이 있을 수 있습니다.
  • 정당한 사유 없이 불참할 경우, 최고 200만 원의 과태료 또는 형사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.
  • 예비군 기록이 누적되어 이후 소집 훈련에서도 불이익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.

따라서 병력동원소집 알림을 받았다면, 반드시 안내된 절차에 따라 행동하시길 권장합니다.